달은 지구를 축으로하여 돌기 때문에 지구의 위성이라 한다. 史前時期에 해(sun)만 있을때 밤夜길다니기가 어렵자 밤에도 태양빛을 반사하여 어느정도 밝히기 위해 지구주위를 돌도록 위성으로 쏘아 올린것이 달이라고 한다.그러나 인력의 영향을 받고 움직이고 있으므로 여성들 생리에 영향을 미치고,바다의 밀물썰물이 생기게 되었고, 농사를 위주로 하는 산업구조에서 농사짓는데 있어 그 시기를 판단하는데는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달은 음력으로 그달의 초에 초승달(초생달)이 생겨서 15일보름이 되면 완전한 달모양(보름달:만월)이 되어 가장 밝고 그 뒤 다시 지구에 가려져 그믐이 되면 (그믐달)자취를 감춘다.현재의 양력은 1894년 갑오경장때 도입되긴 했으나 잘 사용하지 않고 음력만 쓰다가 1960년대쯤에 이르러 음력과 양력을 같이 사용하게 되었으며 1970년대쯤부터 달력(calendar)에서 음력이 사라지고 완전히 양력을 사용하게 되었다.
1주일이 7일인 기원은 칼데아·바빌로니아에서 나왔다고 한다.
일요일은 해를,월요일은 달을,화요일은 화성을, 수요일은 수성을, 목요일은 목성을, 금요일은 금성을, 토요일은 토성을 본떴다. 9대성중 지구와 천왕성,해왕성,명왕성을 제외한 것이다. 요일은 기독교에서 나왔기 때문에 중국에서 월요일은 星期一,화요일은 星期二해서 순서대로하여 토요일은 星期六,일요일은 星期天이라 한다. 동양에서는 그 전부터 24절기라 하여 각 철마다 농사짓는데 필요한 6개의 절기를 정하여
봄철의 절기는
입춘: (立春);봄이 들어섰다는뜻, 우수(雨水):봄비가 내리기 시작하며 봄이본격적 시작되는시기
경칩(驚蟄):날씨가 따뜻해져 개구리가 놀라깨어남,춘분(春分):낮과 밤의길이가 같고 봄의 한복판
청명(淸明):하늘이 맑아져 농사일을 준비하는시기,곡우(穀雨):농사지을 비가 내린다는시기
여름철절기
입하(立夏): 여름에 들어섰다는의미,소만(小滿):본격적인 농사철에 이르렀다는시기
망종(芒種):이날까지 보리를 베고,모를 심거나 밭을 갈아 콩도심는다.하지(夏至):낮이 가장 긴날
소서(小暑):더위가 시작된다는시기, 대서(大暑)큰더위가 온다는시기로 여름의 막바지
가을철 절기
입추(立秋):가을에 들어서는시기,처서(處暑):더위가 가고 나무가지에서 뿌리로 물이내려가는시기
백로(白露):힌 이슬이맺히는계절,추분:秋分):밤과 낮의 길이가 같고 가을의 한복판,한가을
한로(寒露):찬이슬이 맺히는시기,상강(霜降):서리가 내리는시기
겨울철절기
입동(立동):겨울에 들어선다는시기,소설(小雪):눈이내리기 시작한다
대설(大說)많은눈이 내리는시기로 겨울이 한창인시기
동지(冬志):밤이 제일길어진날로 겨울의 한복판,한겨울
소한(小寒):추위가 시작되는시기, 대한(大寒):큰추위가 온다는시기로 이후에는 많이 안춥다.
그외에도 雜節로 한식이 있는데 한식의 기원은 중국 진(晉)나라에서 유래하여 그후 당나라때부터는 성묘하는 풍습이 신라시대에 전래되었는데 쑥떡,식혜,콩국수등 찬음식을 먹는날이다.
또 씨름을 하고 탈춤을 추며,여자들은 창포물에 머리감고 그네뛰는 단오와
일년중 가장 더운 초복,중복,말복이 있고,
견우와 직녀가 오작교에서 1년에 한번씩 만난다는 음력7월7일 칠석이 있는데 이날은 민간에서 호박부침을 하여 칠성님께 빌었다.
한식과 단오는 설날,추석과 더불어 우리나라 4대 명절이다.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시 생각한번 (0) | 2006.09.06 |
---|---|
심은대로 거둔다. (0) | 2006.09.05 |
추억이 없다면 무슨 낙으로 사나 ! (0) | 2006.09.02 |
닭이먼저냐 달걀이먼저냐! (0) | 2006.08.28 |
진화론은? (0) | 2006.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