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서장

늙은 말의 지혜

노랑나비1 2006. 9. 18. 15:21
생각하는옛말 -[늙은말(老馬)의지혜](老馬之智)
 
 
 
[출전]《韓非子》〈說林篇〉
 
늙은 말의 지혜란 뜻으로, 아무리 하찮은 것일지라도 저마다 長技나 장점을 지니고 있음을 뜻함.
 
제(齊)나라 환공(桓公:재위 B.C. 685∼643) 때 일이다. 어느 해 봄, 환공은 名宰上 관중(管仲:?∼B.C.645)과 大夫 습붕(鈒朋)을 데리고 고죽국[孤竹國:지금의 하북성(河北省)]을 정벌하러 나섰다.
 
힘든 전투가 겨울에야 모두 끝이 났다. 이들 정벌군일행은 혹한 속에서 본국으로 귀환하는 도중 큰 눈을 만났고, 계속된 눈으로 천지가 흰눈으로 덮이는 바람에 그만 길을 잃고 말았다. 환공이나 다른 참모들도 우왕좌왕할 뿐 전군(全軍)이 진퇴 양난(進退兩難)에 빠져 떨고 있을 때 관중이 말했다.

“이런 때 ‘늙은 말의 지혜[老馬之智]’가 필요하다.”
 
평소 이 늙은 말은 노쇠하여 동작이 느리고 볼품도 없어 병졸들에게 미움만 받는 형편이었다. 수레에서 풀려난 그 말은 잠시 이곳 저곳을 살피더니 이윽고 한 방향으로 걷기 시작했다. 환공의 군대는 이 늙은 말을 따라가다가 마침내 길을 제대로 찾을 수 있었다. 늙은 말은 고향으로 가는 방향을 직감적으로 알고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산길로 이어지는 귀향길에서 이번에는 군대가 가지고 있던 식수가 바닥났다.
전군이 갈증에 시달리며 행군이 어려운 지경에 빠졌다. 그러자 이번에는 습붕이 말했다.
 
“개미는 여름엔 산 북쪽의 음지에 집을 짓지만, 겨울엔 반대로 산 남쪽의 양지 바른 곳에 집을 짓고 산다. 흙이 한 치[一寸]쯤 쌓인 개미집이 있으면 그 땅 속 일곱 자 깊이에 반드시 물이 있으니 개미집을 찾아라.”
군사들이 산을 뒤져 개미집을 찾은 다음 그곳을 파 내려가자 과연 샘물이 솟아났다.

'낙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보>라고 출품했더니...  (0) 2006.09.19
대단한 유연성(사람맞아?)  (0) 2006.09.18
건강을 유지할려면..  (0) 2006.09.14
시내버스를 타고..  (0) 2006.09.13
팔선열전- 장과로  (0) 2006.09.13